BATTERY자료실
 
 
 
망간, 알카라인전지(1차전지) 비교
 
- 망간 건전지 알카라인 건전지
공칭전압 1.5V 1.5V
용량(mAh) 사용제품의 Load에 따라 차이가 있슴 사용제품의 Load에 따라 차이가 있슴, 망간대비 3-4 배 큼
특징 저전류 용도에 적합하다.
가격이 저렴하다.
Motor류와 같은 중부하에 적합하다.
친환경적이다.
적용분야 일반리모콘, 완구, 벽시계,후레쉬, 팬시제품 등 리모콘(IPTV, 에어컨, 다기능, LCD) 디지털카메라, 게임기, 전기면도기후레쉬, 완구, 도어락 등
 
2차전지 소개
1) 이차전지 란
1차전지(Primary Battery)는 1회용만 사용 가능한 전지이나, 2차전지(Secondary Battery)는 저장된 전기를 사용한 후 재충전이 가능하여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재충전식 전지(Rechargeable Battery)를 말한다.

종류는 납 축전지,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전지, 리튬이온 전지,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가 있으며 2차전지는 고 효율성과 반복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최근에 디지털기기 및 전문 특수 기기용으로 사용된다.
2) 팩전지(Battery Pack) 란
이러한 2차전지는 한 개의 단일전지만으로 사용하지않고 여러개를 조합 연결한 상태로 기기에 적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와 같이 동일한 종류의 단전지를 여러개로 조합하여 만든 전지를 팩전지(Battery Pack)라 하고 이러한 팩전지는 연결방법에 따라 전압(Volatge)과 용량(mAh)를 변형함으로써 매우 다양한 기기에 적합하게 응용가능하다.
3) 이차전지의 종류
니켈카드뮴전지(Nickel Cadmuim Battery)
  1899년에 융그나에 의해 발명되었으며 1960년대 상용화되어 현재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대전류 방전에도 전압하락시 영향이 적으며 넓은 온도범위 내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공칭전압은 1.2V/CELL,500회 이상의 충, 방전이 가능하며, 전지의 화학적 원리는 양극활 물질에 옥시수산화니켈(NIOOH), 음극활 물질에 카드뮴(Cd)을 사용하고, 전해액은 알카리 수용액(KOH)을 사용한다.
  2NiOOH + Cd + 2H20 2Ni (OH) 2 +Cd(OH) 2
니켈수소전지(Nickel metal Hydride Battery)
  1990년에 실용화된 전지로 니켈카드뮴전지에 비해 에너지밀도가 2배 이상이며 환경 친화적 재료사용 등의 장점으로 니켈카드뮴전지의 대체용도 및 소형 가전 등의 제품에 널리 사용된다.

공칭전압1.2V/CELL,500회 이상의 충, 방전이 가능하며 전지의 화학적 원리는 양극 활물질에 옥시수산화니켈(NIOOH), 음극활물질에 카드뮴(Cd)대신 수소저장합금(Hydrogen StorageAlloy)을 활물질로 사용하고 전해액은 알카리 수용액(KOH)을 사용한다.
  NiOOH + MH Ni (OH) 2 + M
리튬이온전지(Li-Ion Battery)
  1992년에 실용화되어 현재까지 지속적인 고용량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전지로 고에너지 밀도와 높은 공칭전압를 가지고있어 소형, 경량화가 가능하여 다양한 전자기기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충, 방전시 안전성이 우수하고 메모리 효과가 없다.

공칭전압3.6V/CELL, 500회 이상의 충, 방전이 가능하며 전지의 화학적 원리는 양극활물질에 코발트산 리튬(LiCoO2), 음극활 물질에 흑연(탄소) 전해액에 유기전해액을 사용한다.
  LiCoO2 + C Li1-xCoO2 + LixC
 
리튬폴리머전지(Li-Polymer Battery)
  리튬이온전지와 동일한 화학적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Gel이상의 전해액을 사용함으로써 전해액의 누수가 없으며 금속캔 대신 박형의 알루미늄과 플라스틱 도포필름을 사용, 형상이 자유로우며 1mm이하의 초박형 전지 개발도 가능하다.
  LiCoO2 + C Li1-xCoO2 + LixC
 
납축전지, 개방형(Lead Acid Battery)
  1860년대 개발된 가장 오래된 2차전지로 수십년의 개량과 개발을 통해 현재의 저렴한 가격과 높은 신뢰성을 확보, 자동차용 전지로 주로 사용되며 통신시장의 발달로 무정전 전원장치(UPS), 운송기기, 비상조명등에 사용되고 있다.

공칭전압은 2.0V/CELL이며 전지의 화학적 원리는 양극에 산화납(Pbo2)을 사용하고 음극에 납(Pb)을 활물질로 사용하며 전해액은 H₂SO₄수용액을 사용한다.
  PbO2 + 2HSO4 + Pb PbSO4 + 2H2O
납축전지, 밀폐형(Sealed Lead Acid Battery)
  화학적 원리는 일반 개방형 납축전지와 동일하나 구조적인 특징에 있어서 개방형 납축전지의 단점인 유동성 전해액의 누출, 전해액감소로 인한 물 보충 등의 유지보수 등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되어 , 전해액의 비유동화 및 화학반응으로 발생하는 가스 등을 밀폐계의 물질균형 유지를 통해 흡수해서 구조를 밀폐화시킨것이 납축전지이다. 밀폐형 납축전지는 이러한 구조적 특징으로 물 보충이 필요없는 무누액형이라 설치방향이 자유롭다.

또한 다양한 전압 및 용량범위의 제품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무정전 전원장치(UPS)등의 설치용과 구동완구 등의 전원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PbO2 + 2HSO4 + Pb PbSO4 + 2H2O
4) 리튬전지 보호회로 PCM (Protection Circuit Module)
리튬이온, 리튬폴리머전지의 과충전, 과방전, 과전류 상황에서 충전 및 방전동작를 중지함으로써
배터리의 성능저하를 방지하여 배터리 수명를 보호한다.
과충전 보호기능 (Overcharge Protection)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충전전압 및 전류로 인하여 배터리 전압이 상승하면 전지전압을 검출하여 모듈에 설정된 과충전전압 이상으로 전지가 충전되지 않도록 차단 및 해제하는 기능
과방전 보호기능 (Overdischarge Protection)
외부로 소비되는 전류에 의하여 전지의 전압이 서서히 방전되면 전지전압을 검출하여 모듈에 설정된 과방전전압 이하로 전지가 방전되지 않도록 차단 및 해제하는 기능
과전류 보호기능 (Overcurrent Protection)
외부의 단말기 또는 충전기의 이상 현상으로 충전 및 방전전류가 모듈에 설정된 과전류 이상으로 흐르지 않도록 충전 및 방전전류를 차단 및 해제하는 기능
단락 보호기능 (Short-circuit Protection)
배터리의 외부에서 +, - 단자 단락(short)시 배터리용량의 20배 정도의 전류가 순간적으로 흐르므로 이를 차단함으로써 사고를 방지하고 배터리를 보호하는 기능
BATTERY 기술자료 (거래처 요청시 제공)
벡셀, 로케트 망간, 알카라인 제품보증서 (Engineering Specification)
벡셀, 로케트 망간, 알카라인 공인기관 ROHS자료
벡셀, 로케트 망간, 알카라인 MSDS
벡셀, 로케트 망간, 알카라인 품목별 용량 그래프
삼성SDI, 엘지화학 리튬이온 Data sheets
삼성SDI, 엘지화학 리튬이온 제품승인원
Ni-CD, Ni-Mh Data sheets
Ni-CD, Ni-Mh 제품승인원
Maker별 리튬폴리머전지 Engineering Specification
Maker별 리튬폴리머전지 제품승인원
각종 Coin Cell (버튼셀) Data sheets